딥리얼 AI로 제작한 펄스나인의 버추얼 휴먼 K-pop 걸그룹 '이터니티(Eternity)' | 이미지 제공 - 펄스나인
펄스나인㈜(PULSE9.INC, 대표 박지은)은 오는 2023년 1월 5일(목)부터 8일(일, 현지 시각)까지 총 4일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3'의 스타트업 존인 유레카파크 K-STARTUP 통합관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펄스나인은 2017년 설립해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해온 기업이다. 3D 그래픽 기술 분야에서 누적해온 연구개발 경험으로 ‘가상 인간(버추얼 휴먼)’을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콘텐츠 다각화를 모색해 사업에 적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 지난해 뛰어난 외모와 독특한 세계관을 내포한 최초의 가상 K-pop 그룹 ‘이터니티(ETERNITY)’를 공개해 가상 아이돌 엔터 사업을 론칭한 바 있다.
펄스나인의 이터니티는 이들의 독자적인 ‘딥리얼 AI’로 제작한 버추얼 휴먼 그룹이다. 딥리얼 AI는 라이브커머스 시장에서 가상 인플루언서의 실시간 방송에 대한 니즈를 반영하기 위해 개발된 실사형 가상인물 AI 서비스로, 펄스나인의 독자적 이미지 데이터 전처리 프로세스가 적용되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를 바탕으로 가상 인물 생성 모델 학습 시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높은 퀄리티의 모델링이 가능하고, 그 결과물은 기본적인 발화 및 활동은 물론, 높은 기술력을 요구하는 ‘먹방’까지 구현할 수 있다는 차별성을 갖췄다.
펄스나인은 자사의 기술력을 집약해 제작한 가상 K-pop 걸그룹 이터니티를 통해 글로벌 시장을 공략할 방침이다. 지난해 3월 첫 번째 곡인 ‘I’m real’을 시작으로 다양한 싱글 및 뮤직비디오를 발매해왔으며, 그 결과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남미 등 49개 국가에서 ‘이터널’이라는 팬덤이 자발적으로 생성되었다. 이러한 인기를 바탕으로 본격적인 ‘컬처 테크놀로지 쇼 비즈니스’ 사업을 전개한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펄스나인 관계자는 “이번 CES에서 자사 콘텐츠와 기술력이 갖춘 영향력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후 매출은 물론, 기술, 콘텐츠, 유통 구조에 수직계열화를 거쳐 시장 지배력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향후 성과를 바탕으로 자체 캐릭터와 기술 개발에 재투자를 지속하고, 이를 글로벌 B2C 시장 공략을 위한 추진력으로 삼는 선순환구조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라고 말했다.
펄스나인㈜(PULSE9.INC, 대표 박지은)은 오는 2023년 1월 5일(목)부터 8일(일, 현지 시각)까지 총 4일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3'의 스타트업 존인 유레카파크 K-STARTUP 통합관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펄스나인은 2017년 설립해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해온 기업이다. 3D 그래픽 기술 분야에서 누적해온 연구개발 경험으로 ‘가상 인간(버추얼 휴먼)’을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콘텐츠 다각화를 모색해 사업에 적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 지난해 뛰어난 외모와 독특한 세계관을 내포한 최초의 가상 K-pop 그룹 ‘이터니티(ETERNITY)’를 공개해 가상 아이돌 엔터 사업을 론칭한 바 있다.
펄스나인의 이터니티는 이들의 독자적인 ‘딥리얼 AI’로 제작한 버추얼 휴먼 그룹이다. 딥리얼 AI는 라이브커머스 시장에서 가상 인플루언서의 실시간 방송에 대한 니즈를 반영하기 위해 개발된 실사형 가상인물 AI 서비스로, 펄스나인의 독자적 이미지 데이터 전처리 프로세스가 적용되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를 바탕으로 가상 인물 생성 모델 학습 시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높은 퀄리티의 모델링이 가능하고, 그 결과물은 기본적인 발화 및 활동은 물론, 높은 기술력을 요구하는 ‘먹방’까지 구현할 수 있다는 차별성을 갖췄다.
펄스나인은 자사의 기술력을 집약해 제작한 가상 K-pop 걸그룹 이터니티를 통해 글로벌 시장을 공략할 방침이다. 지난해 3월 첫 번째 곡인 ‘I’m real’을 시작으로 다양한 싱글 및 뮤직비디오를 발매해왔으며, 그 결과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남미 등 49개 국가에서 ‘이터널’이라는 팬덤이 자발적으로 생성되었다. 이러한 인기를 바탕으로 본격적인 ‘컬처 테크놀로지 쇼 비즈니스’ 사업을 전개한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펄스나인 관계자는 “이번 CES에서 자사 콘텐츠와 기술력이 갖춘 영향력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후 매출은 물론, 기술, 콘텐츠, 유통 구조에 수직계열화를 거쳐 시장 지배력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향후 성과를 바탕으로 자체 캐릭터와 기술 개발에 재투자를 지속하고, 이를 글로벌 B2C 시장 공략을 위한 추진력으로 삼는 선순환구조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라고 말했다.